카테고리 없음

앤드류 후버만 <성공을 위한 목표 설정 방법>

실버T 2024. 10. 1. 22:24

 

목표 설정의 효율적인 방법: 두뇌의 작동 원리

 

목표를 세우는 방법에 대해 고민 중이신가요? 가장 효과적인 목표 설정 방법은 한 번에 하나의 큰 목표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즉, 현재 자신이 도전적으로 생각하는, 이루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나의 목표에 집중하는 이유

한꺼번에 많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오버홀(Overhaul)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성취 가능성이 낮아지며 장기간 유지가 어렵습니다. 반면, 하나의 목표에 집중하면 두뇌는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성취 확률도 높아집니다.

 

한 가지 목표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1. 원하는 목표를 모두 적기: 종이에 목표들을 자유롭게 적어보세요.
  2. 덜 중요한 목표 지우기: 목록에서 덜 중요한 목표를 지우며 나아갑니다.
  3. 남은 하나의 목표: 마지막으로 남은 목표가 현재 집중해야 할 핵심 목표입니다.

 

 


적당한 불편함이 성장을 이끈다

너무 낮은, 성취가 뻔히 예상되는 목표는 두뇌를 충분한 각성 상태로 만들지 못합니다. 이 각성 상태는 불편함을 수반하고, 이 과정에서 신경회로는 변화합니다. 불편함을 익숙함으로 받아들이며 점차 한계를 극복하게 되는 것입니다. 약간의 두려움은 두뇌가 최대치를 발휘하도록 자극합니다.

좌절은 과정의 일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좌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좌절은 새로운 신경회로가 학습되는 과정임을 인식하면 좌절조차 하나의 성장 과정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좌절을 맞이할 때 두뇌는 새로운 방식으로 적응하며, 이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길로 나아갑니다.

 

 


목표를 동사형 문장으로

목표는 동사형 문장으로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그래야 동기부여가 꾸준히 지속되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행동이 명확해집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몇 시간 공부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하루 중 어떤 시간에 공부할 것인지" 명확하게 계획합니다.

12주 단위의 실천 계획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는 주기는 12주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개월은 새로운 행동을 익숙하게 만드는 데 이상적인 기간으로, 이 기간 동안 꾸준히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종이에 적기

목표를 직접 종이에 적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를 적으면 뇌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더 강하게 각인하게 됩니다.

명확성과 측정 가능성

목표를 설정할 때는 그 목표가 명확하고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진행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성취감과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과정을 즐기는 것입니다. 목표에 연결된 행동을 하면서 스스로 동기를 얻고, 그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목표 설정의 진정한 의미입니다.


 

반응형